장자의 메타철학

'북쪽 깊은 바다'에 물고기 한 마리가 살았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 하였습니다. 그 크기가 몇천 리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이 물고기가 변하여 새가 되었는데, 이름을 붕(鵬)이라 하였습니다. 그 등 길이가 몇천 리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한번 기운을 모아 힘차게 날아오르면,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습니다. 이 새는 바다 기운이 움직여 물결이 흉흉해지면, 남쪽 깊은 바다로 가는데, 그 바다를 예로부터 '하늘 못(天池)'이라 하였습니다.

이상한 일을 다룬 <제해(齊諧)>라는 책에도 이 새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붕이 남쪽 깊은 바다로 갈 때, 파도가 일어 삼천리 밖까지 퍼진다. 회오리바람을 일으켜 그것을 타고 여섯 달 동안 구만리 장천을 날고 내려와 쉰다."

[저 아래 땅 위에는] 아지랑이가 피어 오르고, 티끌이 날고, 생물들이 서로 숨을 불어 주고, 하늘은 푸른데, 그것이 하늘의 본래 색깔입니까? 끝없이 멀기 때문에 푸르게 보이는 것은 아닙니까? 붕새가 높이 떠서 내려다보니까 이처럼 까마득하고 푸르게 보일 뿐입니다.

괸 물이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습니다. 물 한 잔을 방바닥 우묵한 곳에 부으면 그 위에 겨자씨는 띄울 수 있지만, 잔을 얹으면 바닥에 닿아 버리고 맙니다. 물이 얕은데 배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바람이 충분하지 못하면 큰 날개를 띄울 힘이 없습니다. 구만리 창공에 오른 붕새는 큰 바람을 타야 푸른 하늘을 등에 지고 거침이 없이 남쪽으로 날아갑니다.

매미와 새끼 비둘기가 그것을 보고 함께 웃으면서 말합니다. "우리는 한껏 날아 보아야 겨우 느릅나무나 다목나무에 이를 뿐이고, 어떤 때는 거기에도 못 미쳐 땅에 내려앉고 마는데, 구만 리를 날아 남쪽으로 간다니."

가까운 숲으로 놀러 가는 사람은 세 끼 먹을 것만 가지고 가도 돌아올 때까지 배고픈 줄 모르지만, 백리 길을 가는 사람은 하룻밤 지낼 양식을 준비해야 하고, 천리 길을 가는 사람은 석 달 먹을 양식을 준비해야 합니다. 매미나 새끼 비둘기 같은 미물이 어찌 이를 알 수 있겠습니까? 조금 아는 것(小知)으로 많이 아는 것(大知)을 헤아릴 수 없고, 짧은 삶(小年)으로 긴 삶(大年)을 헤아릴 수 없습니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

장자 소요유 편의 첫 우화는 몇 가지 인간 유형을 제시한다. 붕(鵬)과 같이 큰 움직임으로 큰 뜻을 이루어 가는 인간형을 보여주는가 하면, 그 이면에는 붕이 되려는 의지와 노력을 지닌 곤(鯤)과 같은 인간형이 전제되기도 한다. 반면 붕은 커녕 곤과 같은 됨됨이도 갖지 모하면서 그들을 비웃고만 있는 매미와 같은 인간형도 제시된다.

이와 같은 우화는 일종의 비유인 것이다. 매미와 같이 손바닥만한 세계에 고립되어 타인에 대해 어리석은 규정을 짓지 말고 붕과 같이 큰 세계를 꿈꾸라는, 나무랄 데 없이 '좋은' 말이다. 그러나 비유를 넘어서서 구체적인 현실을 맞이하려고 하면 '무엇이 큰 세계인가?'하는 존재론적 물음과 '나는 나의 가치관을 벗어난 판단을 할 수 없는데, 타인에 대해서는 어떻게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까?'하는 인식론적 물음에 부딪힌다. 이 물음에 대해서는 많은 사상가들과 실천가들이 저마다의 분석과 실천을 제시해 왔을 터이다. 그리고 장자의 글을 읽고 마음이 움직인 사람은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물음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하려는 시도를 했을 것이다.

장자의 미덕은 바로 이 점에 있다.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제기하게 하는 것. 겉으로는 막연해 보이는 문장이지만 그것에 의문을 갖는 순간 그 의문의 깊이가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독자 스스로 깨닫게 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계속되는 질문으로 상대방을 깨우쳤다고 한다. 그 깨우침의 결과는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거나 모르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알게 하는 것이다. 위대한 철인(哲人)에 제압당함으로서 얻게 되는 깨달음이 소크라테스 식의 깨달음이라면, 장자는 위대한 의문을 품을 기회를 독자에게 남기는 아량을 갖고 있다. 그 여유는 넉넉한 풍미를 느끼게 해 준다. 이름부터가 소요유인 것을 보아도 그렇다. 어딘가 허전해 보이는 빈 방. 그러나 가구를 넣으려고 이리저리 배치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유를 발견하고 즐길 수 있다면, 장자라는 붕이 날아오르는 큰 날개짓을 좀 더 가까이 느끼는 계기가 될 것이다.


2004년 6월 6일

Monthly Archives

Pages

Powered by Movable Type 5.14-en

About this Entry

This page contains a single entry by pocorall published on June 6, 2004 5:09 PM.

지식인들의 단꿈, 알렙 was the previous entry in this blog.

아포리즘 23 is the next entry in this blog.

Find recent content on the main index or look in the archives to find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