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책을 위한 변명

서로의 철학에 대한 교양의 수준을 잘 모르는 경우에, 내게 누가 철학 얘기를 꺼내면 그냥 태연하게 모르는 척 하고 넘어가는 식으로 넘겨왔다. 상대가 아주 피상적인 이야기를 하는게 아니면 나보다 훨씬 깊이있게 사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나는 별로 할 얘기가 없었기 때문이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어설프게 떠들면서 잘난척 주름 세우거나 그러다 제대로 된 임자(?) 만나서 혼나는 경우는 별로 보기 안 좋은 풍경 아닌가.

세상 일을 잠시 모른척, 백수생활을 누리면서 문득 책꽃이를 보니 소위 철학서적들이 상당히 꽂혀있는 것을 이제 완전 시치미 뗄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만큼 시간을 들여 한 일이라면 대체 이게 무엇이며 왜 하는가에 대한 변명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우하하...그래 변명이다. 시작할 때 그런 거 안 따지고 시작했고, 거창한 의미부여 같은것도 장식에 불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전혀 이성에 근거하지 않고) 막연하게 나를 지배한다. 어쨌거나 누가 내 책꽂이를 보고 '이게 뭐냐'고 물었을때 우물우물 넘기기는 좀 우습다 싶어 지금부터 변명을 억지로 뚜드려맞춰낼 테다.

산이 있다. 산을 어떻게 넘을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등산로를 따라 고개를 넘어 산 너머로 간다. 다른 사람들은 터널을 뚫는다던지 정상을 한번 찍고 간다던지 일부러 험한 쪽을 골라 암벽등반을 한다던지...어떤 방법을 쓰든 산을 넘어갈 방법을 궁리할 것이다. 하지만 철학자들은 산 기슭을 어슬렁거리면서 꽃 피는 것을 보고, 물 흐르는 것도 보고, 구름 떠가는 것도 보고...다른 등산객들도 보다가 산을 넘어야 한다는 사실을 까먹는 사람이다. 산을 그리 급하게 넘어야 할 절실한 이유가 없는 팔자 늘어진 사람들이 철학을 한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내가 졸업 후 바로 취직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한 판에 짜라투스트라가 어떻게 말했는지 따위가 무슨 소용인가?

이렇게 여유만만한 철학자들은 이리저리 산책하듯 산 주변을 거닐다가 때로 남들이 목적지라 생각하는 곳에 도달하기도 하지만, 아마도 거기까지 이르는데 턱없이 먼 길로 돌아왔을 것이다. 목적지보다는 산에 더 관심이 있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자면, 그는 산에 대해 깊이있는 성찰을 해왔을 테고, 산을 대할 줄을 알 것이다.

우리 앞에 놓인 산은 매우 다채롭고 변화무쌍하다. 그만큼 산은 넘기에 힘든 정도가 아니라 두려운 느낌까지 주기도 한다. 벌벌 떨며 한 발 한 발 내딛다가 뒤돌아보며 어느새 한 고개를 넘었다고 안도할 때, 내 앞에는 어김없이 다른 산이 버티고 있다. 언제까지 견딜 수 있을까? 나는 잠시 쉬면서 산을 좀 더 알고 싶었다. 등산로가 놓인 산이 아닌, 산의 다른 모습을.

이렇게 철학자들의 몹시 한가해 보이는 사유와 내 삶의 구체적인 사건들이 연결된다. 한 가지 상황과 한 가지 사유를 연관시켜 답을 얻어내는 것이 아니라, 산에 대한 다양한 밑그림과의 대조과정이 다양한 상황에 대한 길잡이가 되어 준다는 지점에서 연관성을 찾은 것이 바로 그 열쇠였다.

철학자들은 저마다의 탐험기를 하늘에 새겨둔다. 나는 틈이 날 때마다 자리를 펴고 누워 그들의 흔적을 더듬으며 나만의 별자리를 그린다. 언젠가 하늘 가득 밝게 수놓아진 별자리들에 힘입어 좀 더 의연히 산을 누빌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Monthly Archives

Pages

Powered by Movable Type 5.14-en

About this Entry

This page contains a single entry by pocorall published on September 8, 2001 2:40 AM.

나에게 쓰는 편지 was the previous entry in this blog.

바다 is the next entry in this blog.

Find recent content on the main index or look in the archives to find all content.